영화포스터의 저작권 영화는 같이 봐야 재미죠? 영화를 추천할 때, 컨텐츠 특성상 글로만 전달되면 그 느낌이 많이 부족해지죠. 많은 스크린샷은 어떤가요? 글쓴이의 관점에서는 영화의 내용을 전달하는데 스크린샷은 도움이 되겠지만, 본의 아니게 스포일러가 되면서 이후에 그 영화를 볼 사람들에게 오히려 방해가 될 수도 있겠죠. 게다가 사람마다 인상깊게 느끼는 부분은 저마다 다를 것입니다. 그에 비해, 포스터는 그 영화의 많은 것을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있기에 전체 줄거리를 담으면서도 내용을 과도하게 노출하지 않으면서도 궁금증을 유발시킬 수 있기에 영화 홍보에도 적합하죠. 그런데, 내 블로그에 영화 포스터를 올려도 저작권에 문제가 없을까요? 상담사례 소개 직접링크를 아래 달아두었습니다. 세부 내용은 한 번 확인해 보..
블로그에 수식을 넣고 싶다면? 살다보면 뜻하지 않게, 블로그에 수식을 넣어야 하는 순간이 옵니다. 이럴 때 쓰면 좋은 라이브러리와 설정 방법이 있어 기록해 놓습니다. MathJax를 사용하면 블로그에 수식 입력이 가능해집니다. https://github.com/MathJax/MathJax mathjax/MathJax Beautiful and accessible math in all browsers. Contribute to mathjax/MathJax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버전 및 호환성 문제 2020/12월 현재, 3.x 버전도 출시가 되었으나 버전 2.x의 모든 기능이 아직 3.x으로 마이그레이션이 되지 않은 점과 기존과..
블로그와 뉴스기사 저작권 마침 블로그에 유튜브 링크를 걸어도 되는지 조사하면서 공부(?)를 한 탓인지, 용어들이 낯설지는 않습니다. 같은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고, 적용 범위도 거의 비슷한 것 같습니다. 신문사 저작권 관련 공지 모든 신문사가 동일하지는 않을 수는 있어도, 큰 골격 관점에서는 비슷해 보입니다. 참고로 직접링크(딥링크, deep link)만 소개하겠습니다. 한겨레신문-저작권 안내 경향신문-뉴스이용규칙 조선일보-저작권안내 동아일보-디지털뉴스이용규칙 주요 내용은,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는 유튜브 컨텐츠처럼 단순링크와 직접링크까지는 허용하는 수준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직접링크의 경우 좀더 살펴 봐야할 부분이 있어 보입니다. 사실, 유튜브 건에서도 링크의 저작권 침해 방조나 불법 컨텐츠..
블로그와 유튜브 저작권 - 올바르게 인용하기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유튜브 컨텐츠가 있을 때, 내 블로그에 게재해도 정말 안전할까요? 찜찜해서 알아봤습니다. 블로그에 유튜브 인용시 언급되는 링크의 종류 관련 글이나 기사를 찾아보면 다음의 용어들을 만나게 됩니다. 단순링크/심플링크(simple link) 말 그대로 단순링크입니다. 어떤 사이트의 대표주소를 가리킵니다. 예) https://luran.me 직접링크/딥링크(deep link) 단순링크/심플링크의 하위 링크를 말합니다. 적어도 어떤 세부 페이지를 뜻합니다. 예) https://luran.me/213 프레임링크(frame link or framing link) 예전에는 웹페이지를 몇 개의 프레임으로 나누고 임의의 프레임에 다른 사이트의 내용..
티스토리와 2차 도메인 문제 - 리다이렉션/댓글/구독에 대해 예전에 티스토리를 쓰다가, 호기심에 워드프레스 -> 워드프레스 설치형 -> Jekyll까지 이사 다니다가 티스토리로 복귀했습니다. 쭉, 도메인 네임을 설정해두고 쓰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 왔기 때문에, 별일이 있겠냐 생각하고 티스토리에도 다시 도메인 설정을 진행했습니다. 아직은 트래픽도 적은 블로그라 문제점도 드러나지 않지만, 추가 설정을 진행하면서 혹은 사용하면서 이제서야 깨닫게 되거나 앞으로 겪을 수도 있는 문제를 적어봅니다. 2차 도메인을 새로 설정할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브라우저의 보안성 강화에 따른 티스토리의 안내 안녕하세요. 티스토리팀 입니다. 티스토리는 블로그 개설 시 지정하신 블로그 주소 (000.tistory.com..
티스토리 스킨: 친효스킨에서 JB-167로 변경하기까지 절대 친효스킨이 나쁘다고 생각해서 바꾼 것은 아니다. 친효스킨은 설정도 편리하고, 기능도 많고, 업데이트도 훌륭해서 무료 스킨계에서 최고봉을 달리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나는 그 이유로 친효스킨을 뒤로 하고 다른 스킨을 찾아 떠나게 되었다. 아마, 친효스킨을 쓰다가 다른 스킨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공감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친효스킨을 쓰고 있다는 것은 내가 별도 수정을 하지 않는 한 내 사이트들도 유사품으로 남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컨텐츠가 좋으면 그 뿐이지 않겠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조금만 검색을 해보면 굉장히 많은 블로그들이 친효스킨을 사용 중이다. 게다가, 친효스킨을 쓰는 다른..